※ 고혈압 관련 참고 영상
(YouTube 영상 바로가기</a >)
고혈압은 수축기 혈압이 130mmHg 이상이거나 이완기 혈압이 80mmHg 이상으로, 혈압이 정상 범위를 초과한 상태가 지속되는 질환입니다. 1기 고혈압은 수축기 130~139mmHg 또는 이완기 80~89mmHg, 2기 고혈압은 수축기 140mmHg 이상 또는 이완기 90mmHg 이상입니다. 고혈압 위기 상태는 수축기 180mmHg 이상 또는 이완기 120mmHg 이상으로, 즉시 응급 처치가 필요합니다. 고혈압은 심혈관계에 부담을 주며 심근경색, 뇌졸중, 신부전 등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고혈압의 원인을 이해하고 조기에 관리하는 것이 건강 유지의 핵심입니다.
고혈압은 크게 두 가지로 분류됩니다. 일차성 고혈압(본태성 고혈압)은 전체 고혈압 환자의 90~95%를 차지하며 명확한 원인이 없고, 유전, 생활습관, 나이 등 다양한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합니다. 반면, 이차성 고혈압은 특정 질환(신장 질환, 부신종양, 갑상선 질환 등)이나 약물 복용으로 발생하며, 원인을 치료하면 혈압이 정상으로 회복될 수 있습니다. 고혈압의 원인을 조기에 파악해 예방하고, 치료 방향을 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고혈압 위험 요인으로는 유전, 나이, 비만, 운동 부족, 고염식, 음주, 흡연, 스트레스, 카페인 과다 등이 있습니다. 또한 남성은 45세 이전, 여성은 폐경 이후 고혈압 발병률이 높습니다. 당뇨병, 고지혈증 등 만성질환과 환경적 요인(소음, 대기오염)도 영향을 줍니다. 가족력이 있다면 20세 이후부터 정기적인 혈압 검사를 권장합니다.
고혈압 예방과 관리를 위해서는 정기적인 혈압 측정, 저염 식단(나트륨 하루 2,000mg 이하), 칼륨과 섬유질 풍부한 식단 유지, 주 5회 유산소 운동, 체중 관리(BMI 24.9 이하), 금연, 절주, 스트레스 관리(요가, 명상, 산책), 만성 질환 조기 검진이 중요합니다. 특히 저염 식단은 가공식품, 국물류 줄이기부터 시작하세요.
고혈압을 장기간 방치할 경우 심근경색, 심부전, 뇌졸중, 뇌출혈, 신부전, 동맥류, 고혈압성 망막병증 등 치명적인 합병증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특히 심장과 뇌, 신장의 손상은 회복이 어렵고 생명을 위협하므로 조기 관리가 필수입니다.
매일 같은 시간에 혈압을 측정하고 수치를 기록해 의사와 공유하세요. 가공식품 섭취를 줄이고 집밥 위주 식단으로 바꾸는 것도 큰 도움이 됩니다. 혼자 하기 어렵다면 가족과 함께 걷기나 운동을 계획해 지속성을 높이세요. 가족력이 있거나 만성질환이 있다면 정기적으로 병원을 방문해 건강 상담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 대한고혈압학회, 질병관리청 등의 자료를 참고해 스스로 건강 관리를 학습하세요.
'건강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혈압 식단 완전 정리! DASH 식이로 혈압 낮추는 비결 (0) | 2025.07.13 |
---|---|
고혈압 낮추는 방법 : 식단, 운동, 생활습관, 약물까지 (0) | 2025.07.13 |
복날 완전정복! 초복·중복·말복별 보양식 추천과 여름 건강관리 꿀팁 총정리 (0) | 2025.07.12 |
5060 이후 삶의 목표 설정법, 당신의 노화 스타일을 정의하라 (0) | 2025.07.10 |
대상포진 합병증 3가지 위험성 (1) | 2025.07.10 |